본문 바로가기

728x90

한국경제/한국 수출입 동향

(43)
9월 1~10일 수출입 통계에는 반등의 신호가 어디에 있을가?- 월별수출비교 관세청은 9월 1일에서 10일 기간 동안 수출입 현황을 발표했습니다. 10일 정도의 짧은 기간이라서 영향력은 적지만 그래도 오랜만에 무역수지는 2억 달러 흑자를 보였습니다. 수출은 186억 달러, 수입은 18357달러로전년동기 대비 수출은 24.6% 증가, 수입은 11.3% 증가했습니다. 7월 부터 비교하면 무역수지가 적자였고 점점 커지다가 9월에 흑자로 돌아섰습니다.수출은 8월에 비해서 20% 정도  늘어났으며, 7월보다도 증가했습니다. 그리고 수입은 7월 보다 감소했으며 8월 보다는 늘어났지만 많이 늘지 않았습니다.사우디나 러시아로 부터 들어오는 원유, 가스, 석유제품이 많이 감소한 때문인 것 같습니다. 즉, 여름 휴가가 끝이 나고 원유와 가스 가격이 내린 원인이 아닐까 생각이 드는데요.좌측이 천연가..
불닭의 불이 꺼졌을까? - 농식품 수출액 월별 통계로 본 수출주 전망 요즘 식품관련된 기업의 주가가 좋지 않습니다. 저는 꽤 전망을 좋게 보고 있어서 버티고 있다가 결국 손절을 했는데요. 손절하고 난 뒤 다음날 반등하는 모습을 보면서 위장이 또 쓰려옵니다.  산업통상자원부 농수산식품 수출 현황은 하락제가 매도를 한 이유는 관세청자료를 바탕으로 산업통신자원부에서 보도자료로 제출한 유망소비재의 수출액이 감소했기 때문이었는데요.4,5,6,7, 월은 그래도 나쁘지 않은 수출 액이었습니다. 게다가 7월에는 가장 높은 수출액이었습니다만 8월의 수출액은 급격한 하락을 보였습니다. 그래서 큰일이다 싶어서 다 팔아 버렸는데요.다음날 농림축산 식품부에서는 전혀 다른 내용의 보도자료가 제출되었습니다. 농식품 수출 12개월 연속 플러스!- 농림축산 식품부2024년 8월 누적 수출액은 64.8억..
2024년 8월 한국 수출입 동향 - 컴퓨터 급등, 선박 증가, 2차전지 하락인데 주가는 왜 이래? 혼란하다 혼란해 산업통상자원부에서 관세청의 통관자료를 기반으로 분석한 '2024년 8월 수출입 동향'을 홈페이지 보도자료에서 배포하였습니다.8월 한국 수출입 동향- 산자부는 환호, 로이터는 우려24년 8월 수출은 전년대비 11.4 % 증가한 579/0억 달러, 수입은 6.0% 증가한 540.7억 달러, 무역수지는 +38.3억 달러 흑자를 기록하였다.출처 : 산업통상자원부무역수지로 살펴보면 작년보다  발전했고 7월보다도 개선되었습니다. 다만 5,6월에 비해서는 줄어들고 있는 점이 마음에 걸리는데요. 조업일수 감소로 인한 자동차 생산량 감소의 영향을 보인다고 합니다. 해외의 로이터 통신에서는 같은 내용이지만 뉘앙스가 조금 다르게 표현하고 있습니다.한국 수출 11개월째 증가세 이어지고 성장세 둔화 한국의 8월 수출은 11개월..
2024년 8월 1일~20일까지 관세청 수출입무역 통계 6월, 7월과 비교 오늘 관세청에서 8월 1~20일간의 수출입 무역통계가 나왔습니다.  2024년 8월 1일~20일까지 수출입통계와 전년도와 비교2023년에 비하면 수입수출이 모두 늘었습니다. 무역 수지는 작년 2023년 8월 1일 ~20일까지와 비교했을 때 2011 백만 달러가 개선되었지만여전히 14억 7천 달러 적자입니다.전달(7월)과 비교했을 때 수출과 수입 모두 줄었습니다. 수입은 전년 대비 원유는 (12.5%), 가스 (23.7%), 반도체 (26.5%) 증가했지만 승용차 수입이 -17% 감소했습니다. 수출은 전년 대비 반도체(42.5%), 석유제품(11.7%), 승용차 (7.9%)  증가했지만 무선통신기기(-1.1%) 감소했습니다. 에너지 수입이 증가했고,수출도 전년에 비하면 전체적으로 증가한 것처럼 보이는데요...
2024년 8월 1일~10일까지의 수출입 현황에 나타나는 변화- 반도체와 원유 8월 1~10일 무역수지는 연간, 월간 적자가 늘어났습니다관세청에서 8월 1일~10일까지의 수출입의 현황을 발표했습니다. 수출이 155억 달러 전년동기 16.7% 증가했으며, 수입은 184억으로 전년동기 13.4% 증가했습니다. 무역수지는 29억 적자로 작년과 약간 더 높은 적자입니다.  작년에 비해서는 비슷한 정도의 적자폭이 유지되고 있습니다.  월별로 비교를 하면 어떻게 보일까요?6월, 7월, 8월 1일~10일간 우리나라의 수출-수입을 따로 표로 만들어 보았습니다.수출이 파란색 막대이며, 수입이 붉은색 막대입니다.수출 수입이 모두 조금씩 줄고 있으며 무역수지 적자는 늘어나고 있습니다.  연간으로 비교를 해도 월간으로 비교를 해도무역이 중심인 한국으로는 그다지 좋지 않은 상태인데요. 어떤 품목의 수출과..
2024년 7월 농식품 수출 현황과 증권사의 음식료 업종에 대한 보고서로 보는 음식료 업종 전망 농림축산식품부의 2024년 7월 농식품 수출8월 6일 농림축산식품부의 보도자료에 농식품 수출액과 품목에 대한 자세한 내용이 나와 있습니다.  전체적으로 작년에 비해서 9.2%가 증가해서 5677.5백만 불입니다. 특히 라면은 7월 말까지 약 7억 불이 수출되었고 즉석밥과, 냉동김밥등 쌀가공품은  45.7% 증가하였습니다.특히 수출은 미국(+23.0%) 유럽(33.3%)  중심으로 증가하였고, 일본은 오히려 감소했습니다. 그런데 이런 수출 데이터는 1월~7월까지 누적 통계라서 우리나라 식품기업들의 월별 성장을 개별적으로 보기는 힘든데요. 그래서 지난 통계들과 이번 통계로 월별 그리고 품목별로 정리해 보았습니다.라면의 수출은 큰 변화가 없이 꾸준합니다. 6월에 비해서는 7월이 성장했으며, 4월 보다도 수출량..
2024년 7월 수출입 현황을 2024년 6월과 2023년 7월과 품목별 비교 8월 1일입니다. 산업통상자원부의 보도자료로 2024년 7월 수출입 동향을 보도자료로 배포되었습니다.요약하면 14개월 연속 무역수지는 흑자이며, 원유수입이 많아졌고, 반도체 수출이 좋았습니다.자동차와 선박의 수출액이 다소 감소했습니다. 무역 수지 흑자 - 36.2억 달러 2024년 7월 수출입 실적은수출은 전년동기 대비 13.9%, 수입은 10.5% 증가해서 무역수지는 36억 달러 흑자입니다.하지만 6월에 비하면 무역수지가 -54.7% 감소했습니다. 그래서7월의 무역수지를 2023년과 비교하면 110% 올랐고,6월과 비교하면  54% 감소했습니다. 2023년에도 6월에 비해서 7월이 무역수지가 38.4% 감소했는데요. 7월에는 하계휴가의 영향이 있는 것 같습니다. 수출 감소 품목자동차 특히 자동차 의 하..
관세청 2024년7월 1일~20일 수출입 현황에서 보는 수출과 수입 변화 7월 21일 관세청에서 보도자료로 7월 1일에서 20일까지 수출입 현황을 발표했습니다. 결론 무역수지는 5000억 달러 적자입니다. 수출이 전년(2023년) 대비 18.8% 증가하고 수입은 14.2% 증가해서  수출이 늘어나고 있지만 아직은 무역수지 적자를 벗어나기에는 수출액이 부족한 것 같습니다.  7월 1~20일까지 수입 변화수입이 증가한 것은 승용차가 74.2% 증가했습니다. 수입차 구매가 늘어난 것 같습니다.다음으로원유가 40%, 가스, 31.1%, 석유제품 28.4% 증가했고석탄이 29.9% 감소했습니다. 좌측이 WTI 원유 가격 일봉차트이고 우측이 천연가스 일봉 차트입니다7월이후로 가격은 계속 낮아지고 있지만 우리나라에서는 수입량이 늘어났습니다.반면 석탄이 줄었는데요. 추측이지만 발전용 연료의..
2024년 7월 1일~7월10일 수출입 현황과 6월과의 비교, 주목할 산업군 2024년 7월 1일~10일 수출 현황관세청에서 보도자료로 2024년 7월 1일에서 10일까지의 수출입현황을 발표했습니다. 수출이 177억 달러 수입이 197억 달러로 19.55억 달러 적자를 기록했습니다. 수출이 전년대비 33.8% 증가했고 수입은 26.7% 증가했지만작년(2023년)의 무역수지가 22.86억 달러 적자였기 때문에 적자폭이 줄었다고 봐야 할 것 같습니다.수출품목은 전년동기 대비 반도체의 증가가 매우 높습니다. 지난 달에 이어서 석유제품과 가전제품은 수출이 작년에 비해서 증가하고 있고, 선박과 컴퓨터 주변기기만 내리고 있는데요. 이렇게 작년과만 비교하면 지난달에 비교해서는 알 수가 없어서 최근의 수출 흐름을 읽기 힘든데요.6월과의 수출 현황 비교그래서 6월 1일에서 10일까지의 수출입동향..
농림축산식품부의 수출 데이터와 구글트렌드로 보는 음식료 업종 2분기 실적은? 4월 5월 불닭볶음면은 매콤했고, 메로나는 달콤했으며, 빼빼로는 맛있었습니다. 고기가 빠진 냉동김밥과 더불어 우리네 김치도 세계적으로 인기를 얻었다는 기사들이 넘쳐 났습니다. K-푸드 열풍 올해도 이어간다--1분기 수출 22.7억 불 '역대최고'라는 비슷한 기사가 보였고, 실제로 실적도 좋았으며, 삼양식품은 밀양에 공장을 증설하고, 라인도 확장했다는 기사가 나왔습니다. 이런 이유가 K-컬처의 영향으로 화장품과 식품 같은 소비재도 해외에서 인기가 있을 것이라고 했습니다. 롯데웰푸드는 인도에서 아이스크림과 과자 공장을 장성했었죠. 거기다 갑자기 냉동김밥은 비건식으로 인기를 얻고, 김치는 발효식품으로 유럽에서 인기를 얻으면서 한국의 소비재 산업의 수출이 커질 것 같았습니다.그런데 6월을 지나면서 주가는 조정받..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