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한국경제

(80)
관세 영향을 받는 한국, 그럼에도 수출액 늘어난 승용차- 2025년 4월 1일~20일까지 수출입 동향 2025년 4월 1일~20일 수출입동향 관세청에서는 우리나라의 2025년 4월 1일~20일 기간의 수출입 현황을 발표했습니다. 수출액은 339억달러로 지난해 대비 -5.2% 감소했으며 전달에 비해서는 -4.6% 감소했습니다.수입액은 340억달러로 지난해대비 -11.8% 감소했으며 전달에 비해서 거의 변화가 없었습니다.무역수지는 1억달러 적자가 되었으며 전년에 비해서 95.1% 증가했으며 전달에 비해서 -109.1% 감소했습니다. 무역수지가 작년보다는 좋아졌지만 전달에 비해서는 수출액이 낮아져서 감소했습니다.4월 2일부터 시행한 관세 때문이 아닐까 의심이 되는 부분입니다.1년 동안 장기적으로 추세를 살펴보겠습니다.수입액은 작년 12월 이후 꾸준히 감소하는 모습을 보입니다.수출액은 2,3월 상승했지만 4월 ..
트럼프 관세의 그림자에 수출과 수입액 급등- 2025년 4월 1일~10일간 수출입 현황 2025년 4월 1일 ~10일간 수출입과 무역수지한국은 4월 1일~10일간수출은 186억 달러로 전년동기대비 13.7% 증가했으며 전월에 비교하면 34.3% 증가했습니다수입은 197억달러로 전년동기대비 6.5% 증가해서 전월에 비교하면 23.61% 증가했습니다.무역수지가 11억 달러 적자였습니다. 전달에 비하면 47.6% 적자가 감소했습니다. 이를 월별데이터로 추세를 살펴보겠습니다.  월별 수출입과 무역수지 수입은 아무래도 겨울에 많아지다가 3월에 빠진 후 4월은 높은 증가를 보였는데 어떤 품목인지는 이후에 다시 살펴보겠습니다.수출의 추세도 빠지는 추세였는데 4월에 많이 늘어났습니다.전체적인 물동량이 증가했다고 봐야 할 것 같습니다. 아무래도 트럼프의 관세정책으로 인해서 재고확보를 위한 움직임이 아닐까라..
메로나가 해외에서 그렇게 인기가 좋다는데 빙그레 주가도 오를까? 메로나의 해외 인기 [청년일보] 'K-아이스크림' 해외시장 확대…빙그레·롯데웰푸드 '글로벌 빙과戰' 본격화【 청년일보 】 지난해 K-푸드 수출이 역대 최대치를 기록한 가운데, 아이스크림 수출도 사상 최고 실적을 경신하며 주목받고 있다. 이에 국내 대표 빙과기업인 빙그레와 롯데웰푸드가 다가오는www.youthdaily.co.kr우리나라의 농수산식품 수출 중에서 아이스크림 수출은 2022년 7천만달러, 2023년 9천만달러에서 2024년 9천841만달러로 전년대비 5% 성장했습니다. 수출국가는 60여개국이며 미국이 3천72만달러로 비중이 가장 높으며, 다음으로 필리핀(1천144만달러) 캐나다 (744만달러) 중국(666만 달러) 베트남(619만달러)러시아(500만달러)입니다.전세계적으로 K-푸드의 유행과 저..
오늘도 실적은 라면인건가 -2025년 1분기 농수산식품 수출 실적 농수산 식품부에서 수출 실적을 공개했습니다. 이를 바탕으로 주식과 관련이 있을 농수산식품의 수출 실적을 중심으로 살펴보고 그래프로 만들어서 공개합니다.2025년 1분기 농식품 수출액-K푸드 플러스란? 2025년 1분기 K-푸드 플러스 수출액이 지난해 보다 7.9% 증가한 31.9억 불을 달성했습니다.여기서 K-FOOD+ 는 농식품(신선식품 +가공식품)과 농산업(스마트팜, 농기자재, 동물약품 등)을 포함한 내용입니다.그래서 이중 농식품만을 보면 2024년 1분기(22.639억달러)에 비해 9.6% 증가한 24.802억 달러입니다. 농식품 중에서 라면과 김치, 과자류, 음료, 쌀가공품의 수출액도 분기별로 비교해서 보겠습니다. 김치 분기별 수출액김치는2024년 1분기의 42.3백만달러에서 -2.1% 감소한 4..
OLED, 화장품, 일반기계의 수출이 증가를 보이고 있습니다 -2025년 3월 수출액 품목별 2025년 3월의 수출입 동향을 살펴보고 있습니다.  다시 살아나는 반도체와 선박의 수출액 - 2025년 3월 수출입 동향2025년 3월 한국 수출액 동향2025년 3월 의 수출입 동향을 관세청과 산업통상자원부에서 발표했습니다.2025년 3월수츨은 전년 대비 +3.1% 증가한 582.8억 달러이며 전달대비 11% 증가했습니다.수입은 전heeheeneecocomy.tistory.com지난번 포스팅에서는 반도체와 선박, 승용차와 자동차 부품의 수출동향을 월별 그래프로 보았습니다.오늘은 그 외의 다양한 품목을 월별 수출액 그래프로 살펴보면서 수출액 동향의 변화를 보겠습니다. OLED 3월 수출 동향OLED  2025년 3월 수출액는전년에 비해 +15.1% 증가한 11.39억 달러로 전달에 비해서는 22% 증가..
다시 살아나는 반도체와 선박의 수출액 - 2025년 3월 수출입 동향 2025년 3월 한국 수출액 동향2025년 3월 의 수출입 동향을 관세청과 산업통상자원부에서 발표했습니다.2025년 3월수츨은 전년 대비 +3.1% 증가한 582.8억 달러이며 전달대비 11% 증가했습니다.수입은 전년대비 +2.3% 증가한 533억 달러이며 전달대비 10.4% 증가했습니다.무역수지는 49.8억달러로 전달에 대비해서 19% 증가했습니다.  수입과 수출이 모두 전년대비 전달대비 증가했으며수출이 조금 더 증가해서 무역수지도 증가한 모습을 보였습니다.1년간의 수출과 수입, 무역수지의 변화를 살펴보겠습니다.파란색 그래프인 수입액은 2월이 바닥을 찍고 다시 반등했습니다.빨간색 그래프인 수출액인 큰편화가 없다가 올해 1월 하락 후 다시 조금씩 회복하고 있습니다.그래서 무역수지도 1월 마이너스가 되었다..
케이 소주 수출 상한가에 주가도 움직일까? - 하이트 진로 연간, 분기별 예상 매출과 EPS 케이 소주 수출 2억 달러 달성2024년 소주류의 수출액이 전년 대비 3.9%가 증가해 최초 2억 달러를 달성했습니다. 일반소주가 2.6% 증가한 것에 비해 과일소주가 5.4%가 증가해서 수출액이 96백만 달러가 되었습니다. 과거 일본에만 집중했던 수출선이 미국, 중국, 베트남 등으로 확대되었습니다. 2025년 1~2월에는 베트남으로 수출액이 34.4% 증가했습니다. 2025년 1~2월 일반소주는 수출액이 -14.2% 감소했지만 과일소주는 23.7% 증가했습니다. (참고:관세청) 작년에도 과일소주의 수출액이 증가했다는 소식에 관심을 가진 적이 있었는데요. 올해에는 관세청보도자료와 뉴스로도 나오기 시작했습니다. 작년에는 맥주에 관심을 가지고 여름에 매출이 증가할 것이라는 기대를 했지만 가을이 되면서 맥주의..
2025년 3월 1일~20일 수출입 동향과 월 별 20일간 수출입 품목, 국가 별 그래프 2025년 3월 1일~20일간 수출입 현황우리나라의 2025년 3월 1일~20일간의 수출입 현황을 관세청에서 발표했습니다.2025년 3월 1일~20일간 수출은 355억 달러로 전년 대비 4.5% 증가했으며 전월 대비 0.71% 증가했습니다수입은 344억 달러로 전년 대비 -1.4% 감소했으며 전월 대비 -0.32% 감소했습니다.무역수지는 11억 달러로 흑자가 되었으며 전월 대비 45.9% 증가한 액수 있습니다.1년 흐름을 보면주황색선이 수출입니다. 1월이 가장 낮았고 조금씩 회복하는 모습이 보입니다. 수입은 12월이 가장 높았고 조금씩 감소하는 모습이며무역수지는 1월이 가장 낮았고 회복하는 모습입니다. 이제 조금씩 회복하는 한국경제일까요?수입의 변화부터 살펴보겠습니다. 1일~20일간 수입 국가별전년 대비..
낸드와 DDR5 가격인상을 한다는데 -삼성전자, SK하이닉스, 적정주가 찾아보기 이번 주는 엔비디아 GTS가 있어서 데이터센터용 반도체 주식에 유리한 이벤트가 있습니다. 여전히 Ai 데이터센터용 종목의 주가가 상승할지 이번에도 선반영을 도입해서 주가는 하락할지는 조심해서 지켜봐야 할 것 같습니다. 여전히 Ai의 그늘에 진입하지 못한 삼성전자는 레거시 반도체 기업의 대표가 되었습니다. 그런데 최근 레거시 반도체에도 긍정적인 소식이 들려오면서 희망이 자라고 있습니다. NAND 가격 인상 언급2025년 3월 13일 하나증권의 보고서에 따르면 3월 7일 샌디스크가 고객들에게 보낸 서한에서 4월 1일 부터 NAND 가격을 10% 인상할 계획이라고 발표했습니다.3월 10일 마이크론이 NAND가격 인상을 언급했습니다.  이런 낸드가격 인상의 이유는 SK하이닉스, 마이크론  등의 선제적인 감산효과..
2025년 3월 1일~10일 수출입 현황을 월별 그래프로 편하게 보세요- 관세청에서 2025년 3월 1일에서 10일간의 수출입 현황을 보도자료로 배포했습니다.2025년 3월 1일~10일간 수출입 현황수출은 139억 달러로 전년에 비해  +2.9% 증가했으며 전달에 비해 -6.7% 감소했습니다.수입은 159억 달러로 저년에 비해 +7.3% 증가했으며 전달에 비해 -6.9% 감소했습니다.무역수지는 -20억 달러 적자로 전달에 비해서는 8.2% 적자폭이 감소했습니다. 수입과 수출 모두 감소했으며수출입 규모가 비슷한 규모로 줄었습니다.무역적자도 문제이지만 규모가 줄어드는 것이 걱정이 됩니다. 수입 국가별 월별 현황3월 1일~10일간 우리나라가 수입을 가장 많이 한 국가는 역시 중국입니다.다음으로 유럽연합, 미국, 일본, 대만 순서였습니다. 중국에서 수입은 전년에 비해 4.1% 증가한..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