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한국경제/한국 수출입 동향

(43)
오늘도 실적은 라면인건가 -2025년 1분기 농수산식품 수출 실적 농수산 식품부에서 수출 실적을 공개했습니다. 이를 바탕으로 주식과 관련이 있을 농수산식품의 수출 실적을 중심으로 살펴보고 그래프로 만들어서 공개합니다.2025년 1분기 농식품 수출액-K푸드 플러스란? 2025년 1분기 K-푸드 플러스 수출액이 지난해 보다 7.9% 증가한 31.9억 불을 달성했습니다.여기서 K-FOOD+ 는 농식품(신선식품 +가공식품)과 농산업(스마트팜, 농기자재, 동물약품 등)을 포함한 내용입니다.그래서 이중 농식품만을 보면 2024년 1분기(22.639억달러)에 비해 9.6% 증가한 24.802억 달러입니다. 농식품 중에서 라면과 김치, 과자류, 음료, 쌀가공품의 수출액도 분기별로 비교해서 보겠습니다. 김치 분기별 수출액김치는2024년 1분기의 42.3백만달러에서 -2.1% 감소한 4..
OLED, 화장품, 일반기계의 수출이 증가를 보이고 있습니다 -2025년 3월 수출액 품목별 2025년 3월의 수출입 동향을 살펴보고 있습니다.  다시 살아나는 반도체와 선박의 수출액 - 2025년 3월 수출입 동향2025년 3월 한국 수출액 동향2025년 3월 의 수출입 동향을 관세청과 산업통상자원부에서 발표했습니다.2025년 3월수츨은 전년 대비 +3.1% 증가한 582.8억 달러이며 전달대비 11% 증가했습니다.수입은 전heeheeneecocomy.tistory.com지난번 포스팅에서는 반도체와 선박, 승용차와 자동차 부품의 수출동향을 월별 그래프로 보았습니다.오늘은 그 외의 다양한 품목을 월별 수출액 그래프로 살펴보면서 수출액 동향의 변화를 보겠습니다. OLED 3월 수출 동향OLED  2025년 3월 수출액는전년에 비해 +15.1% 증가한 11.39억 달러로 전달에 비해서는 22% 증가..
다시 살아나는 반도체와 선박의 수출액 - 2025년 3월 수출입 동향 2025년 3월 한국 수출액 동향2025년 3월 의 수출입 동향을 관세청과 산업통상자원부에서 발표했습니다.2025년 3월수츨은 전년 대비 +3.1% 증가한 582.8억 달러이며 전달대비 11% 증가했습니다.수입은 전년대비 +2.3% 증가한 533억 달러이며 전달대비 10.4% 증가했습니다.무역수지는 49.8억달러로 전달에 대비해서 19% 증가했습니다.  수입과 수출이 모두 전년대비 전달대비 증가했으며수출이 조금 더 증가해서 무역수지도 증가한 모습을 보였습니다.1년간의 수출과 수입, 무역수지의 변화를 살펴보겠습니다.파란색 그래프인 수입액은 2월이 바닥을 찍고 다시 반등했습니다.빨간색 그래프인 수출액인 큰편화가 없다가 올해 1월 하락 후 다시 조금씩 회복하고 있습니다.그래서 무역수지도 1월 마이너스가 되었다..
2025년 3월 1일~20일 수출입 동향과 월 별 20일간 수출입 품목, 국가 별 그래프 2025년 3월 1일~20일간 수출입 현황우리나라의 2025년 3월 1일~20일간의 수출입 현황을 관세청에서 발표했습니다.2025년 3월 1일~20일간 수출은 355억 달러로 전년 대비 4.5% 증가했으며 전월 대비 0.71% 증가했습니다수입은 344억 달러로 전년 대비 -1.4% 감소했으며 전월 대비 -0.32% 감소했습니다.무역수지는 11억 달러로 흑자가 되었으며 전월 대비 45.9% 증가한 액수 있습니다.1년 흐름을 보면주황색선이 수출입니다. 1월이 가장 낮았고 조금씩 회복하는 모습이 보입니다. 수입은 12월이 가장 높았고 조금씩 감소하는 모습이며무역수지는 1월이 가장 낮았고 회복하는 모습입니다. 이제 조금씩 회복하는 한국경제일까요?수입의 변화부터 살펴보겠습니다. 1일~20일간 수입 국가별전년 대비..
2025년 3월 1일~10일 수출입 현황을 월별 그래프로 편하게 보세요- 관세청에서 2025년 3월 1일에서 10일간의 수출입 현황을 보도자료로 배포했습니다.2025년 3월 1일~10일간 수출입 현황수출은 139억 달러로 전년에 비해  +2.9% 증가했으며 전달에 비해 -6.7% 감소했습니다.수입은 159억 달러로 저년에 비해 +7.3% 증가했으며 전달에 비해 -6.9% 감소했습니다.무역수지는 -20억 달러 적자로 전달에 비해서는 8.2% 적자폭이 감소했습니다. 수입과 수출 모두 감소했으며수출입 규모가 비슷한 규모로 줄었습니다.무역적자도 문제이지만 규모가 줄어드는 것이 걱정이 됩니다. 수입 국가별 월별 현황3월 1일~10일간 우리나라가 수입을 가장 많이 한 국가는 역시 중국입니다.다음으로 유럽연합, 미국, 일본, 대만 순서였습니다. 중국에서 수입은 전년에 비해 4.1% 증가한..
2025년 2월 품목별 수출 동향 월별 그래프 - SSD, 무선통신,바이오헬스, 철강, OLED, 이차전지, 가전, 농수산식품, 화장품, 의약품 어제는 2025년 2월 수출입동향과 대표적인 품목인 반도체, 조선, 자동차의 수출동향을 알아보았습니다.   2025년 2월 수출입 동향을 그래프로 편하게 보세요산업통상자원부에서 2025년 2월의 수출입동향을 보도자료로 배포하였습니다.2025년 2월의수출은 526억 달러로 작년에 비해 1% 증가했으며 전달에 비하면 7.13% 증가했습니다.수입은 483억 달러로 작heeheeneecocomy.tistory.com무역수지는 흑자전환을 했지만 반도체와 선박의 수출액이 감소했습니다.다만 자동차의 수출액이 증가했었는데요.오늘은 그 외의 다양한 품목의 수출 동향을 월별 그래프로 살펴보면서 어떤 품목이 수출 상승세에 있는지 살펴보겠습니다. SSD 월 수출동향2025년 2월 수출 품목 중 컴퓨터 품목은 전년 대비 28...
2025년 2월 수출입 동향을 그래프로 편하게 보세요 산업통상자원부에서 2025년 2월의 수출입동향을 보도자료로 배포하였습니다.2025년 2월의수출은 526억 달러로 작년에 비해 1% 증가했으며 전달에 비하면 7.13% 증가했습니다.수입은 483억 달러로 작년에 비해 +0.2% 증가했으며 전달에 비하면 5.3% 증가했습니다.수출이 수입보다 늘어나서무역수지는 +43억 달러 흑자로 지난달에 비해 3배 이상 늘었습니다.  수출액은 지난해나 전달에 비해서 늘어났지만 다른 달에 비해서는 높지 않습니다.게다가 올해는 설연휴가 1월에 있었기 때문에 약간 증가한 것으로는 안심을 할 수 없는데요.3월의 수출액으로 우리나라 수출경기가 살아나는지 확인해봐야 할 것 같습니다.수입은 확실히 2월에 많이 줄어드는 특징이 있습니다.지난해와 거의 비슷했습니다.무역수지는 확실한 반등으로..
2025년 2월 1일~20일간 수출입 현황으로 만든 월별 비교 그래프 - 국가별, 품목별, 무역수지 2025년 2월1일~20일간 수출입 현황관세청에서 수출입 현황을발표했습니다.2025년 2월 1일 ~20일간수출은 353억달러로 전년에 비해 16% 증가, 전월에 비교하면 +11.73% 증가했습니다.수입은 345억 달러로 전년에 비해 7.7% 증가, 전월에 비교하면 -2.43% 감소했습니다. 2025년 2월 1일 20일간 수입현황수입은 전년대비반도체(16.9%) 기계류 (19.9%)증가했으며원유(-8%) 가스(-16.4%) 감소했습니다.전월에 비교하면 원유, 반도체, 가스, 석유제품, 무선통신기기가 줄었으며가계류, 반도체제조장비, 정밀기계, 선탄, 승용차의 수입이 늘었습니다.2월 동안 천연가스 가격은 올랐고 원유가격은 보합세였지만 수입액이 줄어 들었습니다.사우디아라비아로 부터 수입이 작년에 비해서는 15...
2025년 2월 1일~10일간 수출입 현황-월별 10일간 수출입 국가별 품목별 그래프 2025년 2월 1일~10일간 무역수지2025년 2월 1일~10일간의 수출입 현황이 관세청에서 발표했습니다.수출이 전년 대비 0.8% 증가한 149억 달러입니다. 전월에 대비 -6.41% 줄었습니다. 수입이 전년 대비 0.3% 증가한 171억달러입니다.전월에 대비 -9.76% 감소했습니다. 무역수지는 22억 달러 적자로 전월에 비해 적자가 47.7% 감소했고 전년에 비해 2.81% 적자가 감소했습니다. 무역수지로 보면 조금 개선되었나 싶지만수출도 줄었지만수입이 더 많이 줄어서 무역수지가 그나마 전월에 비해 감소했습니다경제가 위축되는 것은 아닌지 걱정이 되는데요. 남은 20일 동안 온기가 돌기를 바라며 국가별 품목별 수입 - 수출 현황을 살펴보겠습니다. 1일 ~ 10일간  국가별 월별 수입액수입은 여전히 ..
2025년 1월과 월별 수출동향-무선통신기기, 철강, 이차전지, 가전제품, OLED, 농수산물, 의약품, 화장품 우리나라의 2025년 1월 수출액이 감소한 가운데 미국의 관세폭탄에 떨면서 파래진 주가창을 살펴보고 있습니다.누군가는 이럴 때 살 기회라고는 하지만 아직 공부가 부족한 탓인지 손이 쉽게 가질 않습니다. 그래서 오늘도 산업통상자원부의 보도자료를 끌어안고 이런 와중에 어떤 산업군이 수출이 잘 되고 있는지 그래프로 만들어보았습니다. 한국 2025년 1월 수출입 동향- 2024년부터 월별 비교 그래프- 하락하는 수출액2025년 1월 수출입 동향 2025년 1월의 수출입 동향이 산업통상자원부에서 보도자료로 배포되었습니다.누구나 쉽게 볼 수 있는데요. 안타깝게도 무역수지가 18.9억 달러 적자가 되었습니다.2025년 1heeheeneecocomy.tistory.com어제는 반도체, 컴퓨터, 선박, 승용차, 차부품을..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