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분류 전체보기

(155)
관세전쟁은 막바지로 치닫고 이제는 실적이다! 부활하라 증시여- 2025년 4월 14일~19일 2025년 4월 20일은 부활절입니다.그래서 계란의 소비가 많을 것이라며 걱정이 많은 미국인데요. 이제는 조류독감으로 치솟던 계란값도 다소 진정하고 있으며, 관세전쟁도 점점 힘을 잃고 있는 것 같습니다.4월 13일 한겨레 기사에 따르면  미국세관국경보호국(CBP)는 11일 10시 36분 공지를 통해 중국산 포함 주요 전자제품이 상호관세뿐 아니라 보편관세 10% 부과대상에서도 제외된다고 밝혔습니다. 자세한 면제 대상은 노트북, 서버, 데스크톱 컴퓨터 등 자동 데이터 처리 장치(HTS 코드 8471), 컴퓨터 메인보드, 그래픽카드, 램 등 데이터 처리기 전용 부품(HTS 코드 8473.30), 반도체 웨이퍼 제조 장비, 리소그래피 장비 등 반도체 및 평면 디스플레이 제조 장비(HTS 코드 8486), 모든 ..
멀미 나는 롤러코스터 세계 증시 -2025년 4월 둘째 주 한국과 세계 시장 주간 정리 여전히 관세전쟁이 끝이 나지 않으면서 힘든 한 주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그런 와중에 트럼프가 원하지 않은 사건이 벌어졌는데요. 미국의 장기채 금리의 상승입니다. 사실 미국이 관세를 부여하는 것도 도지를 이용해서 정부지출을 줄이려는 것도 모두 미정부의 부채가 너무 높기 때문이었습니다. 하지만 도지를 통한 정부지출도 생각보다 미비했고, 금리를 낮추기 위해 경기침체를 유도했지만 오히려 장기채권의 금리가 올라가는 현상 때문에 정부의 재정부담은 더욱 커지면서 결국 미 하원은 부채한도를 5조 달러까지 늘리는 예산안을 통과시켰습니다. 그러면서 결국 관세협상의 담당을 나바로에서 벤센트장관으로 바꾸고 중국을 제외한 모든 국가의 부채 상한을 10%로 조절하면서 반전을 꾀했지만 중국의 미국에 대한 관세를 늘리고, 달러가치는..
트럼프 관세의 그림자에 수출과 수입액 급등- 2025년 4월 1일~10일간 수출입 현황 2025년 4월 1일 ~10일간 수출입과 무역수지한국은 4월 1일~10일간수출은 186억 달러로 전년동기대비 13.7% 증가했으며 전월에 비교하면 34.3% 증가했습니다수입은 197억달러로 전년동기대비 6.5% 증가해서 전월에 비교하면 23.61% 증가했습니다.무역수지가 11억 달러 적자였습니다. 전달에 비하면 47.6% 적자가 감소했습니다. 이를 월별데이터로 추세를 살펴보겠습니다.  월별 수출입과 무역수지 수입은 아무래도 겨울에 많아지다가 3월에 빠진 후 4월은 높은 증가를 보였는데 어떤 품목인지는 이후에 다시 살펴보겠습니다.수출의 추세도 빠지는 추세였는데 4월에 많이 늘어났습니다.전체적인 물동량이 증가했다고 봐야 할 것 같습니다. 아무래도 트럼프의 관세정책으로 인해서 재고확보를 위한 움직임이 아닐까라..
미국은행 예상실적과 매출을 그래프로 확인하세요 - JP모건, 블랙록, 웰스파고, 모건스탠리 -매수 적절한 시기는? 4월 2번째 주에는 2025년 실적 발표가 시작됩니다. 리바이스나 칼 메링푸즈, 델타항공의 실적도 중요하지만 시장 전체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섹터는 금요일 11일에 발표하는 은행의 실적발표가 아닐까 싶네요. 은행주는 경기가 좋고, 금리가 높을수록 수익성이 좋아지는데요. 현재 미국 시장은 경기침체를 우려하고 있고 금리인하 압박이 이어지기 때문에 주가는 좋지 않은 상태입니다. 불안심리가 높아지는 가운데 미국은행들의 실적과 가이던스는 시장에 희망이 될 수 있을까요? 관세정책의 변화가 없는 한은 쉽지 않을 것 같은데요. 관세가 계획대로 시행된다면 인플레이션과 함께 경기침체가 시작될 가능성이 매우 높다고 합니다. 현재 시장은 경기침체를 받아들이는 모습의 주가하락을 보이고 있습니다.(고점에서 S&P기준 -26%)..
메로나가 해외에서 그렇게 인기가 좋다는데 빙그레 주가도 오를까? 메로나의 해외 인기 [청년일보] 'K-아이스크림' 해외시장 확대…빙그레·롯데웰푸드 '글로벌 빙과戰' 본격화【 청년일보 】 지난해 K-푸드 수출이 역대 최대치를 기록한 가운데, 아이스크림 수출도 사상 최고 실적을 경신하며 주목받고 있다. 이에 국내 대표 빙과기업인 빙그레와 롯데웰푸드가 다가오는www.youthdaily.co.kr우리나라의 농수산식품 수출 중에서 아이스크림 수출은 2022년 7천만달러, 2023년 9천만달러에서 2024년 9천841만달러로 전년대비 5% 성장했습니다. 수출국가는 60여개국이며 미국이 3천72만달러로 비중이 가장 높으며, 다음으로 필리핀(1천144만달러) 캐나다 (744만달러) 중국(666만 달러) 베트남(619만달러)러시아(500만달러)입니다.전세계적으로 K-푸드의 유행과 저..
인플레이션 지표와 은행 실적, 코스트코, TSMC실적이 나오는 한주 -2025년 4월 7일~4월 11일 주간 한국, 미국, 경제와 실적 일정 -트럼프의 관세로 인한 무역전쟁이 공표되면서 다음 주는 그 시행의 날짜가 화요일 9일이며 이에 상응하는 중국의 미국에 대한 관세부과 날짜도 4월 10일로 다가왔습니다. 뉴스와 각종 경제분석하는 분들은 트럼프의 관세가 블러핑이 아닌 것 같다는 분석과 함께 그에 대한 근거 그리고 예측되는 결과들에 대해 알려주고 있습니다. 무척이나 불안한 가운데 4월 7일에서 11일 사이 발표되는 경제지표는 CPI와 PPI가 있습니다. 미국과 중국 인도의 인플레이션 지표가 발표됩니다. 인플레이션 지표에 따라 금리는 요동치고 각국의 금리조절 가능성에 따라 채권과 주가 움직임이 나타날 것입니다.그리고 금요일에는 제이피모건, 웰스파고, 모건스텐리, 블랙록의 실적발표가 예정되어 있습니다.지금까지는 트럼프의 관세정책으로 인해 심리적 ..
미국 무역전쟁은 시작했고, 한국은 다시 시작 -2025년 3월 31일 ~4월4일간 주간 증시 정리 영화 300에서 페르시아의 황제 크세르크세스는 스파르타의 왕 레오니다스 1세에게 항복을 권유하며 '나는 관대하다'라고 말을 했습니다. 4월 2일 트럼프는 세계를 향해 '우리가 하는 모든 것은 공정하고, 솔직히 말해 나는 관대하다'라고 했습니다.사실 믿지 않았습니다. 단지 협상용 으름장이라고 희망에 섞여 있었지만 돌이켜 생각해보면 트럼프는 애초에 무역전쟁이 목표였던 것 같습니다. 미국의 황제로서 세계를 향해 무역전쟁을 선포한 것입니다. 푸틴이 우크라이나에 전쟁을 선포한 것, 네탄야후가 팔레스타인을 향해 전쟁을 한 것과 동일한 모습이었습니다. 단지 화포를 사용하지 않고 관세를 사용한 무역전쟁을 시작했고, 시장은 그에 반응해서 폭락을 이어갔습니다. 이 전쟁이 어떻게 흐를지는 알 수 없기 때문에 실제로 관세가 ..
오늘도 실적은 라면인건가 -2025년 1분기 농수산식품 수출 실적 농수산 식품부에서 수출 실적을 공개했습니다. 이를 바탕으로 주식과 관련이 있을 농수산식품의 수출 실적을 중심으로 살펴보고 그래프로 만들어서 공개합니다.2025년 1분기 농식품 수출액-K푸드 플러스란? 2025년 1분기 K-푸드 플러스 수출액이 지난해 보다 7.9% 증가한 31.9억 불을 달성했습니다.여기서 K-FOOD+ 는 농식품(신선식품 +가공식품)과 농산업(스마트팜, 농기자재, 동물약품 등)을 포함한 내용입니다.그래서 이중 농식품만을 보면 2024년 1분기(22.639억달러)에 비해 9.6% 증가한 24.802억 달러입니다. 농식품 중에서 라면과 김치, 과자류, 음료, 쌀가공품의 수출액도 분기별로 비교해서 보겠습니다. 김치 분기별 수출액김치는2024년 1분기의 42.3백만달러에서 -2.1% 감소한 4..
OLED, 화장품, 일반기계의 수출이 증가를 보이고 있습니다 -2025년 3월 수출액 품목별 2025년 3월의 수출입 동향을 살펴보고 있습니다.  다시 살아나는 반도체와 선박의 수출액 - 2025년 3월 수출입 동향2025년 3월 한국 수출액 동향2025년 3월 의 수출입 동향을 관세청과 산업통상자원부에서 발표했습니다.2025년 3월수츨은 전년 대비 +3.1% 증가한 582.8억 달러이며 전달대비 11% 증가했습니다.수입은 전heeheeneecocomy.tistory.com지난번 포스팅에서는 반도체와 선박, 승용차와 자동차 부품의 수출동향을 월별 그래프로 보았습니다.오늘은 그 외의 다양한 품목을 월별 수출액 그래프로 살펴보면서 수출액 동향의 변화를 보겠습니다. OLED 3월 수출 동향OLED  2025년 3월 수출액는전년에 비해 +15.1% 증가한 11.39억 달러로 전달에 비해서는 22% 증가..
다시 살아나는 반도체와 선박의 수출액 - 2025년 3월 수출입 동향 2025년 3월 한국 수출액 동향2025년 3월 의 수출입 동향을 관세청과 산업통상자원부에서 발표했습니다.2025년 3월수츨은 전년 대비 +3.1% 증가한 582.8억 달러이며 전달대비 11% 증가했습니다.수입은 전년대비 +2.3% 증가한 533억 달러이며 전달대비 10.4% 증가했습니다.무역수지는 49.8억달러로 전달에 대비해서 19% 증가했습니다.  수입과 수출이 모두 전년대비 전달대비 증가했으며수출이 조금 더 증가해서 무역수지도 증가한 모습을 보였습니다.1년간의 수출과 수입, 무역수지의 변화를 살펴보겠습니다.파란색 그래프인 수입액은 2월이 바닥을 찍고 다시 반등했습니다.빨간색 그래프인 수출액인 큰편화가 없다가 올해 1월 하락 후 다시 조금씩 회복하고 있습니다.그래서 무역수지도 1월 마이너스가 되었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