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국경제/한국 수출입 동향

2025년 3월 1일~20일 수출입 동향과 월 별 20일간 수출입 품목, 국가 별 그래프

728x90

2025년 3월 1일~20일간 수출입 현황

우리나라의 2025년 3월 1일~20일간의 수출입 현황을 관세청에서 발표했습니다.

3월20일수출입
2025년 3월20일 수출입과 무역수지(참고:관세청)

2025년 3월 1일~20일간 

수출은 355억 달러로 전년 대비 4.5% 증가했으며 전월 대비 0.71% 증가했습니다

수입은 344억 달러로 전년 대비 -1.4% 감소했으며 전월 대비 -0.32% 감소했습니다.

무역수지는 11억 달러로 흑자가 되었으며 전월 대비 45.9% 증가한 액수 있습니다.

3월20일수출입
20일간 한국 수출입현황 1년간 월별 그래프(참고;관세청)

1년 흐름을 보면

주황색선이 수출입니다. 1월이 가장 낮았고 조금씩 회복하는 모습이 보입니다. 

수입은 12월이 가장 높았고 조금씩 감소하는 모습이며

무역수지는 1월이 가장 낮았고 회복하는 모습입니다.

 

이제 조금씩 회복하는 한국경제일까요?

수입의 변화부터 살펴보겠습니다. 

1일~20일간 수입 국가별

3월20일수출입
1일~20일간 국가별 수입액(참고:관세청)

전년 대비 유럽연합(5.4%)일본(11.1%) 대만(32.3%) 증가했으며

중국(-4%) 미국(-13.4%) 감소했습니다.

 

전월에 대비하면

중국(12%), 유럽연합(0.02%) 대만 (4.8%) 베트남 (9.1%) 증가했으며

미국(-17.7%) 일본(-3.0%) 호주(-1.5%) 사우디아라비아(-17.5%) 말레이시아(-9.0%) 러시아(-14.3%) 감소했습니다.

 

3월 흐름으로 보면 호주와 사우디아라비아, 러시아, 말레이시아, 가 꾸준히 감소하고 있으며

대만은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추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1일~20일간 수입 품목별

3월20일수출입
1~20일간 품목별 수입액(참고:관세청)

품목 별로 살펴보면

전년동기 대비

반도체(6.4%), 가스 (14.2%), 반도체 장비(64.6%) 증가했으며

원유(-19.0%), 기계류(-5.3%) 감소했습니다.

 

전월 대비

반도체와 정밀기계는 변화가 없으며

가스(30%), 반도체제조장비(22.2%) 석유제품 (9.6%) 승용차(58.2%) 무선통신기기 (26.8%) 증가했습니다.

원유(-15.1%), 기계류 (-6.7%), 석탄(-25.8%) 감소했습니다.

 

3개월 흐름으로 보면

반도체는 비슷하고 

원유 수입이 감소하고 있습니다.

반도체 제조장비, 정밀기기, 승용차의 수입이 증가하고 추세로 보입니다.

1일~20일간 수출 국가별

3월20일수출입
1일~20일 미국,중국,유럽연합, 베트남 수출액(참고:관세청)

수출을 살펴보겠습니다.

전년대비

미국은 (2.5%) 유럽연합(15.2%) 베트남(4%) 증가했으며

중국(-3.8%) 홍콩(-16.4%) 감소했습니다.

 

전월 대비

미국(1.3%) 유럽연합(19.98%) 대만(16.1%) 싱가포르(23.3%), 홍콩(5.4%) 증가했으며

중국(-3.5%) 베트남(-4.1%) 일본(-10.9%) 인도(-14.4%) 말레이시아(30.4%) 감소했습니다.

 

흐름을 보면

중국으로 수출이 꾸준히 감소하고 있습니다. 최근 중국의 기술발전은 눈부시지만 소비와 수요가 부족해지는 것 아닌가 추측됩니다.

미국은 1월을 바닥으로 조금씩 회복하고 있습니다. 관세이슈로 인한 반등일지는 4월 이후로 봐야 알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유럽연합은 조금씩 상승하고 있으며

베트남이 보합이지만 하락 추세가 보입니다.

3월20일수출입
1일~20일 대만, 일본, 싱가포르, 홍콩, 인도, 말레이시아 수출액(참고:관세청)

 

대만, 싱가포르 홍콩이 1월 이후 강한 반등을 비슷하게 보입니다. AI데이터센터용 칩이나 장비가 아닐까 추측이 되는 부분입니다.

반면 일본과 인도는 하락하고 있으며

말레이시아는 2월을 피크로 강한 하락을 보이고 있습니다. 관련 업체인 금호석유는 주가 변동에 주의해야 할 것 같습니다. 1분기는 좋겠지만 급한 하락은 관세로 인해서 미리 재고를 쌓았을 가능성을 염두해야겠습니다.

1일 20일 수출 품목별

3월20일수출입
1일~20일 반도체, 승용차, 철강제품, 선박 수출액(참고:관세청)

수출 품목별로 살펴보겠습니다.

전년 대비

반도체(11.6%) 승용차(3.7%) 선박(80.3%) 증가했으며

석유제품(-24.6%) 자동차부품(-5.9%) 감소했습니다.

 

전월 대비

반도체(9.5%), 선박(112.97%), 무선통신기기(12.6%), 컴퓨터 주변기기(3.25%) 증가했습니다.

승용차(-8.5%), 철강제품(-8.3%), 석유제품(-18.2%), 자동차부품(-3.4%), 정밀기기(-9.8%), 가전제품(-8.5%) 감소했습니다.

 

흐름을 보면

반도체는 1월을 바닥으로 상승 중이지만 아직 2024년만큼 회복하지는 못했습니다.

승용차는 오르락내리락하면서 조금씩 느리게 상승추세입니다.

철강제품은 큰 변화는 없지만 약간씩 줄어드는 모습입니다.

선박은 드디어 전 고점을 넘어서는 변화를 보입니다. 이번 달은 단연 선박 수출이 가장 많이 증가했습니다.

 

3월20일수출입
1일~20일 석유제품, 자동차부품, 무선통신기기, 컴퓨터주변기기, 정밀기기, 가전제품 수출액(참고:관세청)

석유제품은 급격하게 하락합니다. 합성고무도 염려되고 2차 전지 관련 업체도 주의해야 할 것 같습니다.

자동차 부품은 오르내리지만 큰 변화는 없습니다.

무선통신기기는 1월에 피크가 높지만 10개월 흐름을 보면 하락세입니다.

컴퓨터 주변기기나 정밀기기, 가전제품도 완만하게 하락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무역수지가 개선되는 기쁜 수출입 현황을 보였습니다.

하지만 석유제품과 승용차가 수출액이 전월에 비해 하락하는 모습은 안타깝습니다.

3월20일수출
선박과 반도체 수출이 높은 3월 20일(created by GEMINI)

가장 높은 증가세를 보인 종목은

선박으로 전월 대비 113% 전년 대비 80% 증가했습니다.

반도체는 중국이 줄어든 대신 싱가포르, 홍콩, 대만으로 수출이 늘어나고, 

미국, 유럽연합이 증가하는 것을 보면

 

트럼프의 수출규제에 눈치를 보면서 수출을 하고 있는 모습으로 보이며

그중에서 AI 데이터센터용 반도체의 수출이 꾸준히 이어지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하지만 그 외의 품목은 대부분 하락이기 때문에 이런 변화가 관세 영향인지 주의 깊게 흐름을 지켜봐야 할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