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제는 2025년 2월 수출입동향과 대표적인 품목인 반도체, 조선, 자동차의 수출동향을 알아보았습니다.
2025년 2월 수출입 동향을 그래프로 편하게 보세요
산업통상자원부에서 2025년 2월의 수출입동향을 보도자료로 배포하였습니다.2025년 2월의수출은 526억 달러로 작년에 비해 1% 증가했으며 전달에 비하면 7.13% 증가했습니다.수입은 483억 달러로 작
heeheeneecocomy.tistory.com
무역수지는 흑자전환을 했지만 반도체와 선박의 수출액이 감소했습니다.
다만 자동차의 수출액이 증가했었는데요.
오늘은 그 외의 다양한 품목의 수출 동향을 월별 그래프로 살펴보면서
어떤 품목이 수출 상승세에 있는지 살펴보겠습니다.
SSD 월 수출동향
2025년 2월 수출 품목 중
컴퓨터 품목은 전년 대비 28.5%의 수출액 상승이 나타난 8억 달러이며
컴퓨터 중에서도 SSD 수출액은 작년에 비해 38.9% 증가한 6.2억 달러이지만 전월에 비해서 -2.27% 감소했습니다.
대규모 AI데이터센터 투자가 이어지면서 미국과 아세안등에서 기업용 SSD 중심 견조한 수요가 지속되었습니다.
그런데 3월 3일 미국시장에서 엔비디아와 데이터센터 관련 주식이 모두 하락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이는 싱가포르와 말레이시아를 이용해서 중국으로 데이터센터용 컴퓨터와 칩을 판매하는 행위가 적발되었다는 뉴스 때문이었습니다. 어떤 규제가 나올지 모르지만 주의해서 봐야 할 부분인 것 같습니다.
무선통신기기 월 수출동향
2025년 2월 무선통신기기는
스마트폰 신제품 출시와 AI폰, 폴더블폰등 고부가 부품수요확대로 수출이 증가되었습니다.
전년 대비 +42.3% 증가한 14.7억달러로 전년대비해서 21% 증가했습니다.
모처럼 긍정적인 소식이네요. 한국의 핸드폰을 응원합니다.
바이오헬스 월 수출동향
바이오 헬스는 의약품과 의료기기를 합쳐서 부르는 명칭입니다.
2025년 2월
미국과 유럽 내 바이오 시밀러 신규품목허거가 확대되었으며, 위탁생산 대규모 수주 물량이 수출이 증가되었습니다.
전년대비 +16.1% 증가했으며 전월 대비 +18% 증가한 13.5억 달러입니다.
의약품 월 수출 동향
의약품은 전년 대비 25.1% 증가했으며, 전월 대비 15.2% 증가한 9.18억 달러를 수출했습니다.
의약품은 12월부터 꾸준한 수출액 상승의 모습을 보이고 있어서
2025년 1분기 실적을 기대해도 좋을 것 같습니다.
철강 월 수출동향
철강제품은 글로벌 공급과잉과 미국 관세 부과등으로 가격회복 지연되었습니다.
젼년대비 -4.4% 감소했으며 전월 대비 2.9% 감소한 25.6억 달러입니다.
일반기계(-12.3%)와, 석유화학(-2.2%), 석유제품(-12.2%)도 전년 대비 감소했으며 공급과잉과 경기둔화로 인해 제품 가격하락이 이유인 공통점이 있었습니다.
아직도 변하지 않는 점은 중국의 공급강화와 글로벌 경기둔화입니다. AI나 암호화폐, 양자컴퓨터 등의 새로운 기술들이 나오기는 하지만 아직 세계경기를 떠받들 만큼의 영향력은 부족한 것 같습니다.
OLED 월 수출동향
디스플레이는 전년대비 -5.8% 감소한 12.7억 달러로
전방산업의 수요회복 지연과 OLED - LCD 패널 중심 단가하락이 있었습니다.
그래서 OLED의 2025년 2월 수출은
전년대비 +2.2% 증가한 9.33억 달러이며, 전월 대비 19.82% 증가했습니다
전년에 비해도 전월에 비해서도 OLED 수출은 증가하고 있습니다.
애플의 제품이 많이 팔릴지,
삼성의 제품이 많이 팔릴지에 대해서 주목해서 살펴봐야 할 것 같습니다.
이차전지 월 수출동향
이차전지는 미국등 주요국 정책 리스크와 전방시장 수요둔화와 광물가격하락지속이 있었습니다.
해석하면 미국관세와 지원금 철회, 전기차수요둔화, 리튬가격하락으로 인해 이차전지 수출액이 줄었다고 합니다.
전년에 비해 -9.6% 감소한 6.3억 달러이지만 전월 대비 19.6% 증가했습니다.
최근에는 캐나다 관세로 인해서 이차전지 관련 기업도 부담이 증가하고 있다니 참고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가전제품 월 수출동향
미국의 고관세 정책으로 단기적 재고확보 움직임 있었지만, 경기불확실성과 높은 인플레이션으로 수출은 감소했습니다.
전년에 비해 -4.3% 감소한 6.34억 달러이며, 전월 대비 +13.8% 증가했습니다.
2024년에 비해 2025년은 경기둔화의 움직임이 있으며
2월의 수출액증가는 관세부여 전 재고확보의 영향으로 보입니다.
지금은 좋지만 이후로는 오히려 걱정되는 수출액입니다.
농수산식품 월 수출동향
2025년 1월에는 농림축산식품부에서 월 수출동향을 자료로 제공하지 않았습니다. 언제부터 다시 제공할지 모르기 때문에 현재는 산업통상자원부의 농수산식품의 수출동향으로만 짐작할 수 있습니다.
전년 대비 +19.3% 증가한 10.18억 달러이며 전월에 비하면 18.23% 증가했습니다.
라면수출액은 관세청에 HS번호로 검색을 했지만 2025년 1월까지밖에 나오지 않습니다 그래도 참고하시라고 그래프로 만들어 보았습니다.
라면 월별 수출액
농수산식품 수출액과 비교하면 1월에 수출액이 감소한 점은 같지만-2.7% 정도만 감소했으며
전년대비해서는 23% 증가한 1.07억 달러입니다.
그래서 추측하건대 2월의 라면 수출액은 1.10~1.07억 달러 사이가 아닐까 생각이 듭니다.
화장품 월 수출동향
화장품 수출액은 전년 대비 23.8% 증가한 8.87억 달러입니다.
전월 대비 18.3% 증가한 수출액입니다.
정리하면 철강과 석유제품을 제외하면 모두 전월에 비해 수출액은 증가했습니다.
이중 OLED, 이차전지, 가전제품은 전년도에 비해서는 수출액이 줄었습니다.
그래서 전년도와 전월에 비해 모두 증가한 수출액을 보인 품목은
무선통신기기, 바이오헬스, 의약품, 농수산식품, 화장품입니다.
그중에서도 2달 연속 수출액 증가를 보인 품목은 의약품이었습니다.
미국의 금리가 낮아지고 있으며
중국에 대한 규제가 심해지는 국제적인 환경과 더불어 수출액도 증가하는 의약품이었습니다.
'한국경제 > 한국 수출입 동향'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년 3월 1일~20일 수출입 동향과 월 별 20일간 수출입 품목, 국가 별 그래프 (0) | 2025.03.21 |
---|---|
2025년 3월 1일~10일 수출입 현황을 월별 그래프로 편하게 보세요- (0) | 2025.03.11 |
2025년 2월 수출입 동향을 그래프로 편하게 보세요 (1) | 2025.03.03 |
2025년 2월 1일~20일간 수출입 현황으로 만든 월별 비교 그래프 - 국가별, 품목별, 무역수지 (1) | 2025.02.21 |
2025년 2월 1일~10일간 수출입 현황-월별 10일간 수출입 국가별 품목별 그래프 (0) | 2025.02.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