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국경제/한국 수출입 동향

다시 살아나는 반도체와 선박의 수출액 - 2025년 3월 수출입 동향

728x90

2025년 3월 한국 수출액 동향

2025년 3월 의 수출입 동향을 관세청과 산업통상자원부에서 발표했습니다.

3월수출입
2025년 3월 수출입현황(출처:산업통상자원부)

2025년 3월

수츨은 전년 대비 +3.1% 증가한 582.8억 달러이며 전달대비 11% 증가했습니다.

수입은 전년대비 +2.3% 증가한 533억 달러이며 전달대비 10.4% 증가했습니다.

무역수지는 49.8억달러로 전달에 대비해서 19% 증가했습니다.

 

 

수입과 수출이 모두 전년대비 전달대비 증가했으며

수출이 조금 더 증가해서 무역수지도 증가한 모습을 보였습니다.

1년간의 수출과 수입, 무역수지의 변화를 살펴보겠습니다.

3월수출입3월수출입
좌측 월별 수입액 우측 월별 수출액(출처:산업통상자원부)

파란색 그래프인 수입액은 2월이 바닥을 찍고 다시 반등했습니다.

빨간색 그래프인 수출액인 큰편화가 없다가 올해 1월 하락 후 다시 조금씩 회복하고 있습니다.

3월수출입
월별 무역수지(출처:산업통상자원부)

그래서 무역수지도 1월 마이너스가 되었다가 지금은 회복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작년에는 4,5,6월 상승했기 때문에 기대가 됩니다.

하지만 트럼프발 관세정책으로 인해 미국향 수출액이 많은 한국으로는 걱정이 되는 시기입니다.

 

2025년 3월까지 월별 품목별 수입액

3월수출입
2025년 3월 품목 수입액(출처:관세청)

수입은 비에너지 수입이 증가했습니다

작년에 비해 +2.3% 증가한 533억 달러입니다.

유가 하락영향으로 원유(-9.0%) 석탄(-34.8%) 감소했습니다.

반도체 장비(+86.2%), 컴퓨터(+0.1%) 증가했습니다.

무선통신기기(-7.4%) 철강제품(-12.0%) 감소했습니다.

2025년 3월까지 월별 국가별 수입액

3월수출입
2025년 3월 국가별 수입액(출처;관세청)

수입액수가 가장 많은 곳은

중국(-0.3%) 미국(-9.8%) 일본(+12.1%) 아세안((3.8) EU(+10.4%) 순서였습니다.

2025년 3월까지 월별 품목별 수출액

3월수출입
2025년 3월 품목별 수출액(출처:관세청)

2025년 3월의 수출액은 

역시 반도체가 가장 많았으며 승용차, 선박 순서였습니다. 

2025년 3월까지 월별 국가별 수출액

3월수출입
2025년 3월 국가별 수출액(출처:관세청)

국가별로 비교해보면 미국(+2.3%)이 가장 많았습니다.

다음으로 중국(-4.1%) 아세안(+9.1%) 순서였습니다.

3월수출입3월수출입
좌측 미국향 수출액 우측 중국 수출액(출처:산업통상자원부)

미국과 중국을 보면 1월 수출액이 최저를 보인 다음 2,3월 회복하는 모습을 보입니다.

3월수출입3월수출입
좌측 EU 수출액 우측 일본 수출액(출처:산업통상자원부)

EU도 비슷하지만 3월에 수입액이 좀더 가파른 증가를 보였습니다.

일본은 12월 이후로 꾸준히 감소하는 모습을 보입니다.

3월수출입3월수출입
좌측 대반 수출액 우측 말레이시아 수출액(출처:산업통상자원부)

 

한국이 대만의 수출액을 보면 AI데이타센터용의 수급의 증감을 짐작할 수 있습니다. 

전년에 비해 101% 증가한 38.24억달러를 수출했으며 전달에 비해서도 39% 증가해서 가파른 증가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2024년에 비해서는 적은 편이지만 다시 상승하는 모습은 긍정적으로 봐도 무방할 것 같습니다.

 

말레이시아에 대한 수출액은 합성고무와 관련이 많은데요.

전년에 비하면 22% 증가한 9.85억달러로 전달에 비해서는 -5% 감소했습니다.

 

2025년 3월까지 월별 반도체 수출액

3월수출입
월별 반도체 수출액(출처:산업통상자원부)

반도체의 수출액은

전년에 비해+11.9% 증가한 13.059억달러이며 전달에 비해 35.34% 증가했습니다.

 

IT전방산업의 수요가 확대되었으며

고부가메모리반도체(HBM, DDR%)의 견조한 수요가 수출증가에 도움이 되었습니다.

DDR4와 NAND가격이 전년동월 대비 감소했지만

전월 대비 DDR5, NAND 고정가격이 상승했습니다.

메모리 반도체 vs 시스템 반도체 수출액

반도체수출액
메모리반도체(파란색) 시스템 반도체(빨간색) 수출액(출처:산업통상자원부)

메모리 반도체 수출이 2024년을 피크로 하락했지만

2025년 3월부터 수출액이 급격하게 늘어난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메모리반도체 가격의 상승과 함께 수출액도 늘어나는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시스템 반도체의 수출액의 상승세는 약한 편입니다.

물론 2월보다는 증가했지만 메모리 반도체보다는 증가세가 강하지는 않습니다.

아무래도 한동안은 전통반도체의 강세가 이어질 것 같습니다.

2025년 3월까지 월별 SSD 수출액

3월수출입
SSD 수출액(출처:산업통상자원부)

컴퓨터에 속한 SSD의 수출액은

전년에 비해 43.41% 증가한 10.01억 달러로 전달에 비해 60.9% 증가했습니다.

 

AI서버수요에 따라 서바향 SSD수요가 지속되었습니다.

대규모 AI데이터센터 투자가 이어지는 미국, 유럽, 아세안으로 수출호조세가 이어졌습니다.

2025년 3월까지 월별 선박 수출액

3월수출입
선박 월별 수출액(출처:산업통상자원부)

선박의 수출액은

작년에 비해서는 51.6% 증가한 31.9억 달러로 전달에 비하면 105.67% 증가했습니다.

 

전년 동월 대비 인도물량이 증가했습니다.

LNG운반선, 대형컨테이너선등 고부가 선박 수출증가가 도움이 되었습니다.

2025년 3월까지 월별 승용차 수출액

3월수출입
승용차 월별 수출액(출처:산업통상자원부)

승용차는 

젼년에 비해서 1.2% 증가한 62.42억 달러로 전달에 비하면 2.9% 증가했습니다.

 

하이브리드카와 내연기관차의 수출 호실적

전기차 수출은 감소했습니다.

2025년 3월까지 월별 자동차부품 수출액

3월수출입
자동차부품 월별 수출액(출처:산업통상자원부)

자동차 부품의 수출액은 

전년에 비해 -3.6% 감소한 18.43억 달러로 전달에 비하면 +6.1% 증가했습니다.

 

유럽지역완성차 생산량 축소에 따른 부품수요감소

전기차수요 둔화 지속등으로 수출이 감소했습니다.


우리나라는 3월 수입과 수출이 모두 늘어났고

그중 수출이 조금 더 늘어서 무역수지도 증가했습니다.

3월수출입
3월 수출입현황 (created by CANVA)

반도체와 선박의 수출액이 특히 전달에 비해 증가했으며

반도체 중에서도 메모리반도체의 반등이 인상적이었습니다.

 

안타까운 부분은 자동차와 자동차부품의 수출액의 증가가 높지 않았습니다. 아직 관세가 부여되지 않은 상태에서 수출액의 감소는 앞으로 조심해야 할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