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의 관세로 인한 무역전쟁이 공표되면서 다음 주는 그 시행의 날짜가 화요일 9일이며 이에 상응하는 중국의 미국에 대한 관세부과 날짜도 4월 10일로 다가왔습니다. 뉴스와 각종 경제분석하는 분들은 트럼프의 관세가 블러핑이 아닌 것 같다는 분석과 함께 그에 대한 근거 그리고 예측되는 결과들에 대해 알려주고 있습니다. 무척이나 불안한 가운데 4월 7일에서 11일 사이 발표되는 경제지표는 CPI와 PPI가 있습니다. 미국과 중국 인도의 인플레이션 지표가 발표됩니다. 인플레이션 지표에 따라 금리는 요동치고 각국의 금리조절 가능성에 따라 채권과 주가 움직임이 나타날 것입니다.

그리고 금요일에는 제이피모건, 웰스파고, 모건스텐리, 블랙록의 실적발표가 예정되어 있습니다.
지금까지는 트럼프의 관세정책으로 인해 심리적 불안감이 주가를 낮추었습니다만 이제부터는 본격 실적시즌이 시작되는데요. 현재까지 2025년 1분기 실적은 그다지 좋지 못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하지만 2분기부터 회복세일 것이라고 했던 지난번 가이던스가 관세문제로 더욱 낮아진다면(지난주 이후 미국의 예상 EPS 0.3% 감소 참고:미래에셋증권) 주가의 추가하락도 염려해야 합니다. 하지만 반대로 관세문제가 완화되고 가이던스가 양호하다면 주가의 반등을 기대할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이번 주의 핵심은 관세 시행과 협정, 인플레이션지표, 실적입니다.
예상실적발표 수치는 스톡나우의 자료를 참고했습니다.
한국 경제와 실적발표 일정
4월 7일 월요일- 삼성전자와 LG전자의 1분기 잠정실적 발표가 예정되어 있습니다.
4월 9일 수요일 - 통계청 3월 고용동향발표 예정(인베스팅닷컴은 10일로 표기)
4월 11일 금요일 - 관세청의 3월 수출입동향발표

미국 경제와 실적 발표 일정
4월 7일 월요일
-3월 콘퍼런스 보드 고용동향지수발표
-FOMC 위원 쿠글러 연설
-Needham 헬스 콘퍼런스(4월 7일 ~9일)
실적발표(
-리바이스(LEVI) - 예상 EPS 0.31$(전분기대비 -38.0%) 매출 $1.64B(전분기대비-10.9%)
4월 8일 화요일
오전
-3개월, 6개월 물 미국채 경매
-2월 소비자 신용
오후
-3월 NFIB 소기업 경기낙관지수
-존슨 레드북 소매 판매 지수
실적발표
-WD-40(WDFC)- 예상 EPS $1.37(-1.44%) 매출 $149M(-2.93%)
-칼메인푸즈(CALM)- 예상 EPS $1.51(-66.2%) 예상매출 $567 (-40.6%)
-쿠라초밥(KRUS)-예상 EPS $-0.1(-25.0%) 예상매출 $ 66.22M (+2.74%)
4월 9일 수요일
오전
-EIA 단기 에너지 전망
-3년물 국채입찰
-FOMC위원 데일리 연설
오후
-MBA모기지신청건수와 구매자수
-2월 도매판매액과 재고량
-원유재고
실적발표
-코스트코 월간매출
-델타항공(DAL)- 예상 EPS $0.80 (-56.8%) 예상매출 $13.39B (-13.9%)
기타
-구글 클라우드 넥스트 콘퍼런스(4월 9일~11일)
-미국의 국가별 관세 시행

4월 10일 목요일
오전
-4월 입소스 소비자 지수
-FOMC 위원 바킨 연설
-10년물 미국채 입찰
-FOMC 의사록 공개
오후
-실업수당청구건수 -신규, 연속, 4주 평균
-3월 CPI(소비자물가지수 예상 0.2%, 근원 CPI 예상 0.3%)
-천연가스재고
실적발표
-TSMC 3월 매출 발표
-카맥스(KMX) -예상 EPS $0.63 (-22.2%) 예상매출 $5.9B (-5.19%)
-러브색(LOVE)-예상 EPS $1.85 (+678%) 예상매출 $230M (+53.7%)
기타
-중국의 미국향 관세 시행일
4월 11일 금요일
오전
-4주, 8주 미국채경매
-30년물 미국채경매
-WASDE 보고서-세계농업공금 및 수요추정치 보고서로 매월 발표되면 밀, 쌀, 조곡, 면화, 설탕, 육류, 가금류, 계란 우유 등의 공급과 사용에 대한 보고서입니다.
-FOMC위원 하커와 굴스비의 연설
-3월 연방재정 수지
-Fed 대차대조표
오후
-3월 PPI(생산자물가지수 예상 0.1% 근원 0.3%)
-4월 미국 미시간대 인플레이션 기대치와 5년 인플레이션 예상치(기존 4.1%)
-미시간대 소비자 기대지수 (기존 52.6) 심리지수(기존 57)
실적발표
-제이피모건(JPM)-예상 EPS $4.34 (-9.77%) 예상매출 $42.27B (-2.33%)
-블랙록(BLK)-예상 EPS $10.73 (-10.1%) 예상매출 $5.41B (-4.7%)
-웰스파고(WFC)-예상 EPS $1.21 (-14.8%) 예상매출 $20.610B (+1.09%)
-모건스탠리(MS)-예상 EPS $2.19 (-1.35%) 예상매출 $16.30B (+0.47%)
-패스텔(FAST)-예상 EPS $0.53 (+15.2%) 예상매출 $1.97 (+7.95%)
4월 12일 토요일
오전
-FOMC 윌리엄스 연설
-베이커휴즈굴착장비수
중국, 일본, 베트남, 인도 경제 일정
4월 7일 월요일
-베트남 휴장
4월 8일 화요일
-일본 2월 조정 경상 수지
4월 9일 수요일
- 인도 금리 결정과 RBI MPC 회의록 공개
4월 10일 목요일
-인도휴장
-중국 3월 CPI 발표
4월 11일 금요일
-유로존 재무장관회의
-인도 3월 CPI
-중국 3월 신규대출
4월 12일 토요일
-중국 3월 수출액, 수입액, 무역수지
-유로존 재무장관회의

2025년 4월 7일에서 11까지 한 주간의 경제일정과 실적발표 일정을 소개했습니다.
관세의 영향으로 주식시작의 하락폭이 컸던 한 주를 보냈고
파월의 단호한 손절과
트럼프의 변하지 않을 듯한 으르렁거림에
이제 믿을 거리는 기업들의 실적밖에 상승모멘텀은 남은 것이 없습니다.
삼성전자와 LG전자의 1분기 잠정실적발표가 예정되어 있고
TSMC와 코스트코의 한 달간 실적도 발표가 있습니다.
금요일의 은행들의 실적발표와 가이던스 발표도 예정되어 있습니다.
각 기업들의 실적발표와 함께 가이던스를 밝히면서 관세영향으로 인한 경기침체를 보고 있는지, 그럼에도 불구하고 실적개선이 이어지는지를 주목해서 봐야 할 것 같습니다.
가장 좋은 시나리오는 관세정책이 완화되거나 사라지는 것이지만
기대만 심어주다 다시 폭탄을 던지기를 반복할 수도 있는 트럼프이기 때문에 주의해야 합니다.
이번 주 3년, 10년, 30년물 미국채 경매가 있기 때문에 방심해서는 안될 것 같습니다.
'주간일정과 실적발표' 카테고리의 다른 글
관세전쟁은 막바지로 치닫고 이제는 실적이다! 부활하라 증시여- 2025년 4월 14일~19일 (0) | 2025.04.13 |
---|---|
멀미 나는 롤러코스터 세계 증시 -2025년 4월 둘째 주 한국과 세계 시장 주간 정리 (6) | 2025.04.12 |
미국 무역전쟁은 시작했고, 한국은 다시 시작 -2025년 3월 31일 ~4월4일간 주간 증시 정리 (5) | 2025.04.05 |
한국은 공매도 재개 미국은 상호관세 시작 -2025년 3월 31일~4월5일 경제 일정 (0) | 2025.03.30 |
세 머리의 괴물이 시장을 덮쳤다 - 2025년 3월 24~28일 한국장과 미국장 (1) | 2025.03.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