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전히 오락가락하는 트럼프의 관세정책이 주식시장을 멍들게 하고 있는 가운데
이제는 경기가 심리가 아닌 실제로 알 수 있는 1분기 실적시즌이 시작되었습니다. 하지만 이번 실적시즌에서는 실적이 좋다 하더라도 관세로 인한 일시적인 상승으로 보는 경우가 많아서 역시 이번 시즌도 가이던스 특히 연간 가이던스에 주목하게 되는데요. 이미 미국주식은 조정받은 상태라 가이던스가 유지만 되어도 좋은 상태로 보는 모습이었습니다.
결과만 본다면
금이 오르고 비트코인과 유가 그리고 다른 국가들의 주식은 오르는데
미국주식과 달러만 하락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빅스지수는 크게 하락했습니다.
변동폭이 줄고 달러는 약해지고 - 빅스지수와 달러, 금 비트코인
이번 주의 가장 큰 특징이라면 변동폭이 줄었다는 점입니다.
물론 오르내림의 차이는 있지만 트럼프의 '해방의 날' 이후 급격해진 주가의 변동폭이 줄면서 이제 방향을 찾아가는 것 같습니다.
그래서 변동 뉴욕 변동성지수인
VIX지수는 -21.01% 하락한 29.66달러가 되었습니다.
안전자산으로 자금이 쏠리는 모습을 보이면서
금이 +2.79% 상승한 3326.830달러가 되었습니다.
금의 강세에 반면 달러는 하락했는데요.
달러인덱스는 -0.01% 하락한 99.396달러입니다.
이번 주 또다른 재미있는 부분은 나스닥도 달러도 흔들렸지만 비트코인은 큰 변동성 없이 약간 상승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비트코인은 +0.92% 상승은 84481.61달러입니다.
이거 왜 오르지? 하면서 오른 한국 코스피와 코스닥
한국의 코스피와 코스닥은 큰 변동폭 없이 꾸준히 오르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미국의 H20수출제한으로 반도체주의 영향을 수요일을 제외하면 모두 상승 마감하는 모습을 보였는데요.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여야당 대선 후보들의 행보와 정책에 긍정적인 영향을 받았으며
미국의 중국 조선과 해상운송에 대한 규제에 반사이익과
중국의 한한령이 약해질 것이라는 기대감도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습니다.
여기에 넷플릭스의 긍정적인 실적은 엔터와 방송관련주에도 긍정적인 영향이 있습니다.
코스피는 한 주간 +2.08% 오른 2483.42원이었습니다
코스닥은 한주간 +3.19% 오른 717077원이었습니다.
알고 보니 미국 빼고 다 올랐네- 항셍, 닥스, 니케이, 니프티
그럼 한국만 좋았나? 싶지만 중국도 유럽도 일본도 인도도 모두 상승한 한 주였습니다.
미국의 제재를 직접 받고 있는 중국은 드나마 적게 올랐는데요.
중국의
3월 수출액은 12.4%(예측치 4.4%), 무역수지도 102.64B (예측치 74.3B)예측치74.3B)
3월 산업생산은 7.7%(예측치 5.9%, ) 3월 실직률 5.2%(예측치 5.3%)로
1분기 GDP는 연간 5.4%(예측치(5.2%) 분기 1.2%(예측치 1.4%)가 나왔습니다.
약간 혼재되기는 했지만 1분기보다는 3월이 좀 더 좋아지는 모습으로 보입니다.
미국의 무역규제에 그다지 영향이 큰 것 같지 않아 보이면서
항생은 한 주간 +2.3% 오른 21395.14 홍콩달러입니다.
유럽은
4월 경기전망지수가 -18.5%(예측 13.2%)로 낮았으며
3월 소비자 물가지수가 2.2%(예측 2.2%)로 동일했습니다.
4월 금리결정은 2.4% 동결했습니다.
심리는 나쁘고 물가는 안정적이라 금리 인하를 기대했던 것 같은데 동결이라
그래서인지 목요일 주가가 하락했지만 그래도 그전에 오른 부분 덕분에
유로 닥스지수는 한 주간 +4.08% 상승한 216398.91유로입니다.
일본은
3월 수출액이 3.9%(예측 4.5%) 무역수지 544.1B(예측 485.3B)로 낮았으며
3월 근원소비자물가지수가 3.2%(예측 3.2%) CPI 0.3%(이전-0.1%)로 동일하거나 이전보다 높아졌습니다.
또다시 금리 인상에 대한 새어 나오는 모습에 금요일 주가 하락을 보였지만
일본 니케이는 한 주간 +2.77% 상승한 545.26엔입니다.
인도는 이번 주 월요일 금요일 휴장이었습니다.
인플레이션 지표가 발표되었는데요
3월 도매물가 지수가 2.05%(예상 2.5%) 소비자물가지수 3.34%(예측 3.6%)로 예상보다 낮으면서 금리 인하가능성을 높였습니다.
그래서 목요일 강한 상승을 보였으며
인도 니프티는 한 주간 +4.48% 증가한 23851.65루피입니다.
채권도 주가도 모두 빠진 미국- 미국채 10년물, 다우, 나스닥, S&P500
그렇다면 미국은 어떨까요?
뉴스를 보면 월요일에 가장 인상적인 기사제목은 '폭풍이 지나간 후'였습니다.
이후로 트럼프는 '나는 관대하다' '나는 유연하다' 면서 자동차장비에 대해서도 관세유예를 시사하면서 시장의 긴장을 풀어주나 싶었지만
엔비디아 H20의 수출통제가 시행되면서 시장은 급격하게 악화되었습니다.
파월의 스태그플레이션을 암시하는 발언과 함께 '연준 PUT'이 없다는 단호한 모습에 시장을 실망을 보였습니다.
화룡정점은 유나이티드 헬스케어의 실적($7.2 예측보다-1.2%)과 가이던스($26.25 기존 $29.75)가 낮게 나오면서 하루에 22% 이상의 하락을 보이면서 다우의 하락을 이끌었습니다.
좋은 소식은
일라이릴리의 구강체중감량제의 임상 3 상의 양호한 결과로 즐기기 14/4% 급등했으며
넷플릭스는 실적($6.61 예상보다+15.6%) 상향과 가이던스 재확인하면서 주가는 상승하고 목표치도 상승하고 있습니다.
정리하면 트럼프와 파월의 PUT이 아니라 FOOT으로 시장을 눌렀는데
실제 실적도 문제가 생긴 모습을 보인 것입니다.
이제는 심리가 아니라 기업의 실적에 상처가 생기기 시작했고 달러는 안전자산으로 가치가 없어지면서 국채금리도 목요일 다시 상승하는 모습을 보입니다.
미국채 10년물은 한 주간 -3.65% 하락한 4.33%입니다.
다우는 한주간 -2.51% 하락한 39210.5달러입니다.
나스닥과 S&P는 월요일 화요일은 나쁘지 않았습니다. 넷플릭스 실적이 좋을 것이라는 발표와 관세정책도 더 이상 무엇을 하기는 어렵지 않을까 싶었지만 수요일 H20수출통제와 파월의장발언이 빌미가 되면서 다시 하락세를 보였습니다.
나스닥은 한 주간 -2.04% 하락한 18301.2달러입니다.
S&P500은 한주간 -1.5% 하락한 5282.69달러입니다.
이번 한 주는 미국은행에 이어 보험주와 넷플릭스의 실적이 관심이 가는 주간이었어야 했는데
트럼프관세와 파월의 발언에 시장에 충격을 이어서 주고 있습니다.
저는 지난 주가 미 증시와 달러의 바닥이 아닐까 싶었는데요.
달러는 지난주에 이어서 더욱 하락하고 있으며, 금은 더욱 오르고 있습니다.
그리고 이 사태는 누군가의 말 한마디에 바뀔 수 있는 변동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번 주 시장은 숨 고르기에 들어가면서 강한 악재에도 변동 폭은 크지 않았습니다.
어지간한 악재는 다 반영했다고 보고 있는지 지금 미국 기술주가 바닥이라는 뉴스도 종종 볼 수 있었는데요.
최신 뉴스- 화웨이 Ai서버 - 엔비디아 없이도 가능하다. 삼성만 있다면~
4월 16일 반도체 전문 분석업체인 세미아날씨 스는 화웨이 Ai칩'어센드 910C'에 삼성전자 HBM을 사용한 서버의 성능이 엔비디아를 능가할 수 있다고 했으며(출처:비즈니스포스트)
4월 17일 미국 기술 전문 미디어 사이트 테크파워업은 어센드 910C가 하드웨어적으로 엔비디아 GB200보다 한세대 뒤처져 있어도 대규모 시스템 구성을 통해 시스템 전체성능을 끌어 올랐다는 분석기사를 올렸습니다.(출처:이코노믹데일리)
즉, 엔비디아 H20을 규제해도 화웨이의 칩을 이용하면 서버를 구축하는데 문제가 없을 것이라는 분석기사가 나왔습니다. 사실 화웨이의 서버와 Ai칩은 3월 2일 스페인바르셀로나에서 소개된 내용이며, 실제 성능은 떨어지고 전력효율이 낮지만, 중국은 충분한 전력이 있어서 문제가 없다는 내용입니다.
하지만 미국이 H20수출통제에 들어서자 바로 발표되는 성능발표는 의도성에 의심이 생기는 타이밍입니다.
여기에 삼성전자도 끼여 있어서
단기적으로는 엔비디아에 악재로 작용할 가능성이 높고 삼성전자에 호재로 작용하겠지만
장기적으로는 삼성전자가 미국의 규제에 노출될 가능성이 높아 보입니다.
다음 주 월요일 삼성전자와 엔비디아 주가의 방향에 따라 이 뉴스의 강도를 살펴봐야 하겠습니다.
엔비디아가 100달러 아래로 돌파하면 89달러 지지선이 위협받을 가능성도 있을 것 같습니다.
'주간일정과 실적발표'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그들이 돌아왔다 -한국주식은 외국인, 미국주식은 베센트 -2025년 4월 네 번 째 주 주간 주식시황 (3) | 2025.04.26 |
---|---|
테슬라, 알파벳 등 2025년 1분기 실적 발표 시즌이 다가왔다-2025년 4월 네 번째 주 주간 일정과 실적 발표 일정 (7) | 2025.04.20 |
관세전쟁은 막바지로 치닫고 이제는 실적이다! 부활하라 증시여- 2025년 4월 14일~19일 (0) | 2025.04.13 |
멀미 나는 롤러코스터 세계 증시 -2025년 4월 둘째 주 한국과 세계 시장 주간 정리 (7) | 2025.04.12 |
인플레이션 지표와 은행 실적, 코스트코, TSMC실적이 나오는 한주 -2025년 4월 7일~4월 11일 주간 한국, 미국, 경제와 실적 일정 (2) | 2025.04.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