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가를 결정하는 다양한 요인들이 있겠지만 저는 주로 실적이 좋아질 정보가 나오면 긍정적으로 봅니다. 한국경제에서 꾸준히 살펴보는 경제 현황은 10일 간격으로 나오는 수출입현황입니다. 그중에서 특별한 변화가 있으면 지금 당장 주가에는 영향이 크지는 않지만, 분기 실적발표에는 영향을 주는 경우가 있었습니다.
예를 들어 현재는 조선주의 주가가 좋은 상태이지만 저는 조금 부정적으로 보고 있는데요. 1월에 수출액이 낮아진 이유가 단가가 낮은 선박을 인도해서 그렇다고 하는데요. 2월에도 20일까지 수출액이 회복을 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조선 관련주는 수주와 미래전망에 대해서는 긍정적이지만 실제 1분기 실적은 좋지 않을 가능성이 높다고 생각합니다.
그런데 꾸준히 수출입현황을 보면서 올해들어 새로운 흐름이 보여서 공유합니다.
말레이시아 수출액이 늘었다
1년동안 매월 1일~20일간의 수출액입니다.
2024년 12월이 가장 높았고 이후로 1월은 하락 그리고 2월은 다시 반등하는 모습을 보입니다.
왔다가 갔다 하고 있는데요.
트럼프의 관세정책으로 인해 우리나라 수출액도 갈피를 잡기 어려운 지경입니다.
그런 와중에 말레이시아 수출액을 보면 꾸준히 증가하고 있습니다.
2024년 10월 이후로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2월에는 급격한 상승을 보입니다.
1년 중에 가장 많은 수출을 했는데요.
우리나라가 말레이시아에 수출하는 품목에는 반도체와 석유화학제품 등이 있는데요.
비즈 와치(2024년 5월)에 따르면 미국 바이든 행정부가 '수술용 고무장갑'에 대한 관세를 높여 잡은 가운데 국내 금호석유화학이 수혜를 받을 것이라고 합니다. 수술용 고무장갑소재인 'NB라텍스'글로벌 시장점유율 1위를 차지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이번 관세 인상으로 중국과 경쟁관계에 있는 말레이시아 장갑업계의 수혜가 예상됩니다.
이런 기사가 있었습니다. 이후로 7월까지 말레이시아향 수출은 늘었는데요.
혹시 이번의 말레이시아향 수출액이 늘어난 것이
트럼프의 중국을 향한 관세를 늘리면서
'NB라텍스'의 수출이 늘어나는 것은 아닐까?라는 생각을 하게 되었습니다.
저의 추측일 뿐이기 때문에 전문가들의 보고서를 살펴보겠습니다.
증권사 보고서에서 보는 금호석유
3년 간의 감익 종료. 1Q 25부터 뚜렷한 개선 - 하나증권 리서치 2025년 2월 5일
하나 증권리서치 센터에서는 목표주가를 140000원을 유지하고 있으며
24년 4분기 영업이익이 100억 원으로 전년 대비 -23% 감소하고 예상이 494억 원에 비해 80% 하회했습니다. 정기보수와 일회성 비용 200억 이상 반영되고, 이로 인해 매출과 수익성도 감소했습니다. 다만 합성고무의 영업이익이 전분기 대비 +71% 증가했습니다.
25년 1분기 749억 원(전분기 대비 653% 증가 전년비 -5%)으로 추정합니다. 전분기 일회성 손실제거와 합성고무와 에너지 실적개선을 예상합니다.
중요한 건 합성고무 증익 - 신한투자증권 2025년 2월 5일
신한투자증권에서는 목표주가를 170000원으로 하향했습니다.
올해 합성고무 중심 펀더멘탈 회복 기대와 이익체력 점차확대되며
범용고무(SBR/BR)는 견조한 수요와 공급부담과 천연고부 대체재로 강세를 가지고 있습니다. NB라텍스는 대규모 증설 일단락 이후 고객사 재고축적에 따른 식적 기여도 확대로 흑자전환 (올해 +28%) 예상
4 Q24 review -일회성 요인으로 부진 vs 1Q 실적 이상 무- 삼성증권 2025년 2월 5일
목표주가는 140000원으로 매수를 유지합니다.
1분기 영업이익이 777억 원(전분기대비 +680%)으로 컨센서스 790억 원에 부합할 것으로 예상합니다.
25년 1분기 EPDM(에필렌, 프로필렌, 다인 고무로 패킹과 실링에 사용) 증설
25년 4분기 SSBR (친환경 합성고무 주로 타이어용) 증설
로인해 2025년은 2024년 5.9%에서 6.8%로 증가될 것으로 예상합니다.
정리하면 2024년 4분기 실적이 좋지 않았고
2025년 1분기부터 꾸준히 실적 개선이 예상된다고 합니다.
금호석유의 주요 사업
금호석유는 금호석유화학과 금호피앤비화학, 금호폴리켐. 금호티앤엘, 금호리조트와 ASIANA WEIHAI COUNTRY CLUB & RESORT Co., Ltd.로 구성된 기업입니다.
2024년 3분기를 기준으로 본 사업내용은
합성고무와 합성수지가 65% 정도 차지하며
기초유기화학물 23%
기타 12%입니다.
이 중에서 주목한 부분은 합성고무 부분인데요 2024년 4분기 매출액기준 7585억 원에서 2025년 1분기 8168억 원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영업이익률로는 93.5% 증가할 것이라고 합니다.
그럼 금호석유의 주가는 너무 올랐는 것은 아닐까요? 5년 평균의 PER과 2025년 선행 EPS를 통해 적정주가를 구해보겠습니다.
금호석유 적정주가 구하기
적정주가는 시장에서 6개월~1년 뒤 예상하는 EPS와
적절한 PER을 곱해서 구하는데요.
종목이나 상황(금리, 산업전망 등)에 따라 per는 변화할 수 있습니다.
지금은 트럼프의 관세정책과 미국의 경기둔화에 대한 우려가 있어서 예상한 것보다는 PER가 낮아질 수 있습니다.
먼저 EPS입니다. 네이버 증권과 미래에셋증권의 예상치를 사용했습니다.
2024년을 바닥으로 2025년은 반등을 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다음은 지난 4년과 올해 예상치 PER입니다.
평균을 내면 7.14배로 나오는데요.
최근 3년간 per가 높았기 때문에 현재 PER보다 조금 더 보수적으로 나왔습니다.
적정주가는 2025년 EPS를 적용하면 89457원이 나왔습니다.
이를 차트에 적용시켜 보면 너무 낮게 나오는데요.
그래서 2022년~2025년의 per를 평균내면 8.2배가 나왔으며
2025년 EPS로 보면 102962원입니다
현재 주가에 비해서는 높이 있습니다.
꽤 낮아진 가격이라고 생각했는데 PER의 평균으로 보면
적정주가에 비해서 높은 현재주가입니다.
즉, 외부에 부정적인 신호가 있으면 주가가 쉽게 하락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금호석유에 관련 있는 말레이시아향 수출액이 증가해서
지난 실적과 2025년 1분기 실적을 살펴보았습니다.
확실히 2024년에 비해서 2025년은 실적이 개선될 가능성이 높고
1분기에 합성고무와 원료의 수출액도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적정주가를 구해보면 지난 5년 기준으로 보면 89457원
지난 4년 기준으로 102962원이 나왔습니다.
PER를 좋게 보아도 현재주가가 111900원입니다.
주변상황에 따라 주가는 하락할 확률이 높은데요.
관세가 어떻게 작용할지 살펴보면서
적정주가 이하로 하락하면 조금씩 모아가는 방법이면 좋지 않을까 싶습니다.
'한국경제 > 국내기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케이 소주 수출 상한가에 주가도 움직일까? - 하이트 진로 연간, 분기별 예상 매출과 EPS (1) | 2025.03.26 |
---|---|
낸드와 DDR5 가격인상을 한다는데 -삼성전자, SK하이닉스, 적정주가 찾아보기 (0) | 2025.03.17 |
버틀러에서 스크리너 필터 사용해서 기업 선택하기- ROE ROA 20% 이상 (0) | 2025.02.17 |
실적 발표를 앞둔 크래프톤 매출액과 EPS, PER를 예상치와 함께 살펴보기 (1) | 2025.02.08 |
DL 이앤씨 건설사 중에서 2024년 4분기 실적은 가장 양호할 것이라는데 (3) | 2025.01.22 |